◆”자살은 결코 선택 사항은 아닙니다!자살 예방, 이번에는 제대로 하겠습니다!”◆ 국민이 공감하고, 가시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실질적 대안 마련, 대통령 직속 국민 통합 위원회(위원장 김·한길)는 21일”자살 위기 극복 특별 위원회”(특위 위원장 한·지아, 이하 특별 위원회) 제9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.특위는 방송 통신 위원회, 문화 체육 관광부 등 관련 부처가 참여한 가운데 2차례 회의를 거쳐서 자살 관련 콘텐츠에 대한 쟁점 및 개선에 관한 집중 논의했다.특히 최근 SNS및 OTT(온라인 동영상 서비스)등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서 자살 관련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(영상 포함)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, 모니터링 및 시정 요구까지 장시간 걸리는 한계를 파악했다.특위는 구체적인 대안 찾기 위해서 논의한 결과, 적시성 있는 시정 요구가 있는 현실적인 규제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이끌어 냈다.구체적으로 유튜브, OTT, SNS, 쇼트 폼 등 각종 디지털 플랫폼의 자살 관련 유해 정보에 대한 자주 등급 분류 기준 강화, 영상물 등급 분류 기준에 “자살·자해”를 따로 분류하고 관리 강화, 인터넷상의 자살 관련 유해 정보 심의·차단이 신속히 진행할 수 있는 패스트 트랙 제도의 도입, AI보트 개발 등 첨단 기술을 이용한 모니터링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.또한 특위는 최근 자살 과정의 실시간 SNS방송, 전세 사기 피해자의 자살 등 아쉬운 사건이 잇달아 발생했으며 정부 자살 예방 정책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사각 지대 해소와 함께 한국 사회의 자살에 대한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는 데 공감했다.또 일부의 자살 사망자 모임 및 관련 전문가가 우려를 표명했다”극단적인 선택”이란 용어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.한·지아 특위 위원장은 “자살은 결코 선택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관심이 매년 1만 3천명을 살릴 수, 우리 가족 및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”고 밝혔다.김·한길 위원장은 “국민 통합 위원회의 올해의 주요 키워드를 『 청년 및 사회적 약자 』에 정한 만큼 특위는 최근 청소년 자살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청소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살과 관련된 인터넷 컨텐츠에 대해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”라고 말했다.자살 위기 극복 특위가 “통합의 관점에서 민·관 자살 유족 관련 전문가가 한마음으로 논의하고 국민이 공감하는 가시적 변화를 끌어낼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준비하는 것”을 요청했다.※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·친구가 있으면 자살 예방 상담 전화 1393, 정신 건강 상담 전화 1577-0199희망의 전화 129생명의 전화 1588-9191청소년 전화 1388청소년 모바일 상담”모두 들어주셔서 개”앱, 카카오 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.<시사 상조 신문(www.sisasangjo.co.kr)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>

